바지락 생산량, 갯벌 노출시간이 중요해
상태바
바지락 생산량, 갯벌 노출시간이 중요해
  • 안현선 기자
  • 승인 2024.02.08 0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시간 노출된 지역 40배 이상 많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서해안 바지락 생산량은 갯벌의 노출시간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서해안 바지락 생산량은 갯벌의 노출시간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는 지난 3년간 바지락 어장 서식지 적합도 평가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서해안 바지락 생산량은 갯벌의 노출시간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서식지 적합도 평가란 생물이 생존·서식하기 가장 좋은 지역이 어떤 곳인지를 환경인자(노출시간, 퇴적물 성상, 유속 등)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번 연구는 충남 근소만, 천수만 및 보령, 전북 곰소만 등 서해안의 갯벌 바지락 생산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서해안 바지락은 1조석 주기당 갯벌 노출시간은 2~4시간, 갯벌 퇴적물의 모래함량이 60~80%, 초당 유속 0.3~1.0m 환경에서 최적 서식지 조건으로 생산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노출시간 2~4시간 지역의 바지락 개수가 다른 노출시간(1, 5, 6시간)대 지역에 비해 40배 이상 높았다.

수과원은 바지락 생산량과 갯벌 환경과의 상관성이 구명됨에 따라 서해안 바지락 양식의 적지 선정과 함께 생산량 증대로 어업인 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전망했다.

수과원 황운기 갯벌연구센터장은 “서해안 대표 패류인 바지락뿐만 아니라 가무락, 동죽, 백합 등 다른 유용 패류까지 연구 범위를 확대해 적정 서식지를 파악하고, 고부가가치 패류 생산량 증대를 위한 현장중심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과원 갯벌연구센터는 지난해 12월 충남 보령을 시작으로 지역 어업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이러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달 중 전북 고창 곰소만, 오는 3월 충남 태안 천수만과 근소만에 위치한 어촌계를 방문해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