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유입 절실한 ‘위기의 어촌’
상태바
인구 유입 절실한 ‘위기의 어촌’
  • 안현선 기자
  • 승인 2024.02.05 0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가 수, 어가 인구 지난해보다 줄어들 전망
특히 올해엔 어가 수 4만 가구 붕괴 우려도…

박상우 KMI 어촌연구부장, ‘어촌 전망과 과제’서 밝혀

올해도 어촌 소멸위기는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박상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어촌연구부장은 최근 열린 2024 해양수산 전망대회에서 ‘어촌 전망과 과제’에 대해 소개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박 부장 발표에 따르면 어촌 소멸지수는 해마다 악화되고 있다. 2020년 0.37이던 어촌 소멸지수는 2021년 0.34, 2022년 0.31, 2023년 0.28이었으며 올해도 지난해보다 낮은 0.26으로 전망됐다.

또 어가 수와 어가인구, 어업인 고령화도 같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어가 수는 4만1057가구, 어가인구는 8만5839명으로 잠정 집계됐는데, 2024년엔 어가 수 4만358가구, 어가인구 8만3417명으로 추산됐다.

주목할 점은 올해 어가 수 4만 가구(8만 명)가 붕괴 직전에 직면했다는 점이다. 어가인구 고령화도 가속화되고 있다. 2023년 고령화율은 43.5%였으나 2024년엔 44.9%로 시간 흐름에 따라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박 부장은 “2020년 어가 수 5만 가구가 붕괴된 이후 4만 가구가 붕괴 우려에 처하기까지 겨우 4년이 소요됐고, 2030년에는 어촌 소멸지수가 고위험(0.2 미만) 단계로 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청년인구 확대와 신규 인력 진입장벽을 낮춰 인구 유입을 늘릴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부장은 어촌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선 수산·어촌 분야의 사업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선 행정안전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방소멸기금’ 지원 대상을 인구 소멸위기에 직면한 섬과 어촌으로 확대하고, 어촌지역의 거점경제 생태계 기반 마련을 위한 ‘어촌형 기회발전특구’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제4차 어촌·어항 발전 기본계획 수립과 어촌 활성화 3법(어촌어항법·어촌특화법·어촌재생법) 제·개정 등을 통해 어촌 지원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