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의 미래, 혁신기술 활용에 달렸다-국내 해조류 양식기술 개발 현황과 확대 전략
상태바
수산업의 미래, 혁신기술 활용에 달렸다-국내 해조류 양식기술 개발 현황과 확대 전략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4.01.01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 시장 확대 위해 친환경적 웰빙 트렌드 맞춰나가야

유럽 등 서구 국가는 해조류 양식산업을 유망한 신산업 영역으로 판단
해조류 산업 선도국 위치 차지하기 위해선 품종과 연구인력 육성 절실
양보다 품질 개선과 친환경적 양식기술 활용한 가치 창출에 중점 둬야
기능성 성분 함유된 해조류 육종 품종 개발되면 산업가치 높일 수 있어
황은경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소 해양수산연구관
황은경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소 해양수산연구관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의 해조류 양식 산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이유는 해조류가 잠재적인 블루카본으로 주목받으면서 해조류 바이오매스 생산을 통한 식량원, 사료, 비료 및 생리활성물질 확보 외에도 지구를 구할 탄소 저감원으로서 그리고 기업들에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위한 좋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국내 해조류 양식기술 개발 현황과 확대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021년 전 세계 해조류 생산량은 3385만9148톤이며, 우리나라는 이 중 5.5%인 184만5682톤을 생산해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3위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또한 김은 2021년 김 수출액이 6억9000만 달러에 이르며, 우리나라의 농수산물 가운데 수출 1위를 차지하는 중요한 품목이 됐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류가 식량, 사료 및 의약학 원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조류를 채취하고 사용해온 역사는 기록상으로 최소 1500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세기까지 유용한 해조류들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가 이뤄졌고, 그 결과 해조류 자연 자원을 단순히 채취하던 것에서 기술적 제어를 통한 양식산업으로 해조류의 생산 구조가 변화됐다. 

해조류는 가장 일찍 양식산업화에 성공한 수산품목이며, 생산량은 전체 천해양식 생산량의 77%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수산양식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양식 대상종은 김, 미역, 다시마, 톳, 파래, 모자반, 매생이, 청각, 쇠미역, 개꼬시래기, 곰피 등으로 다양해졌으며, 다수확 고품질의 양식품종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로 양식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조류 육종은 해조류에 품종보호제도가 적용되기 시작한 2012년을 전후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현재까지 품종보호권이 등록된 해조류 품종은 2023년 현재 총 32품종으로 각각 김 26품종, 미역 5품종, 다시마 1품종 이다(그림 참조). 이들 보호품종들은 양식 현장에 보급돼 우리나라의 해조류 양식 생산량을 직접적으로 견인하는 데 크게 공헌하고 있다.

현재 양식 중인 김은 방사무늬김, 모무늬돌김과 잇바디돌김이 있으며, 2022년 김 생산량은 55만221톤(전체 해조류중 32%), 금액으로는 4695억 원(전체 해조류 중 65%)에 이른다.
김 육종의 목적은 속성장, 고수온내성 및 질병내성을 가지는 품종을 개발하거나, 풍부한 2차 대사산물(항산화물질, 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함유하는 품종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2022년 초반 전남 해남 지역에서 처음으로 겨울철 규조류 대량 발생과 김 황백화 현상이 동시에 나타남에 따라 영양염 요구량이 적은 김 품종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 육종은 선발, 교잡과 돌연변이 유도 방법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 전남도에서 개발한 해풍1호는 선발육종 방법으로 개발된 품종인데, 대표적인 다수확 품종이어서 우리나라 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바가 큰 품종이다. 또한 대학에서는 김 양식에 피해를 주는 갯병을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뤄져, 김의 붉은갯병을 유발하는 과민반응 세포주의 선발을 통한 붉은갯병 내성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기도 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현재까지 김 18품종을 개발했으며, 이 가운데 생산성이 낮은 전수1호를 제외한 17개 품종들이 모두 양식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남해안 전복 양식이 확대되면서 갈조류(미역, 다시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갈조류(미역, 다시마)는 전복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어서, 다시마 양식이 종료된 8월부터 미역 생산이 시작되는 11월까지의 기간 동안 전복 먹이로 이용할 수 있는 해조류 품종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전복 먹이용 해조류의 안정적인 공급과 연중 공급 시스템 마련을 위해서는 △고수온 적응 품종을 개발하거나 △양식 기간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양식 종을 개발해야 했다. 양식 기간 연장 품종은 교잡 및 선발육종 방법으로 개발할 수 있었으며, 새로운 양식 종으로는 곰피와 감태가 개발됐다. 다년생 갈조류인 곰피와 감태는 다시마보다는 생산량이 적지만, 고수온기에도 엽체를 유지하고 있어서, 양식 현장에서 전복 먹이의 연중 공급 시스템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즉 12월부터 다음 해 7월까지는 미역과 다시마를 전복 먹이로 공급하고, 8월부터 11월까지는 양성기간이 연장된 다시마 수과원301호(또는 양성 시작 시기 조절)와 곰피, 감태를 전복 먹이로 공급하는 것이다. 전복 먹이원으로서의 수요 이외에도 곰피와 감태는 바다숲 조성용으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해조류 양식의 불모지인 강원도 지역에서는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토종 다시마인 용다시마(개다시마의 상품명)의 자원이 풍부해 이를 이용한 지역 가공제품 생산이 활발히 이뤄졌다. 그러나 용다시마는 양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생산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 자원이 모두 고갈돼 멸종 위기에 놓이고 말았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어렵게 확보한 용다시마의 유리배우체를 증식시켜 대량양식에 성공했으며, 본래 용다시마의 자연 서식지였던 강릉에서 적정 생육 수심 관리 기술을 이용해 성숙 엽체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해조류 유전자원 은행에 보관된 유전자원을 이용해서 멸종위기종을 복원하고 자원 회복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이다.

해조류에 대한 국제적 관심은 최근 이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2020년 9월 유럽국가들이 중심이 돼 제안한 ‘해조류 선언’이 선포됐고, 2021년 3월 ‘안전한 해조류 연합(SSC)’이 발족됐다. 여러 국가가 참여한 SSC에서는 ‘해조류 혁명’이라는 모토를 내걸고, 해조류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만드는 작업이 시작됐다. 미국 또한 한국과 해조류 외해양식을 통한 탄소 저감 목적의 공동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유럽연합은 2024년부터 기업들에 ESG 경영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어 앞으로 기업들에는 ESG 경영이 기업의 재무제표만큼이나 중요한 항목이 될 것이다. 

국내에서 해조류 양식산업은 오래된 전통 산업쯤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유럽 등 서구 국가들에서는 유망한 신산업의 영역으로 판단하고 국가기관과 젊은 CEO들이 창업을 앞다투고 있다. 해조류에 대한 폭발적인 국제적 관심은 결국 해조류 산업 선도국으로서 우리나라가 앞으로 많은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미래에도 해조류 산업 선도국의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도전에 대비하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해나가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차세대 해조류 양식과 육종 분야 연구인력의 지속적인 육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해조류 생산의 양적 증가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품질의 개선과 친환경적인 양식 기술을 통한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둬야 할 것이다. 

미래 해조류 양식의 확대 전략은 크게 야외(바다) 양식과 실내(육상) 양식 기술 개발로 구분할 수 있다. 야외 양식 기술 개발은 자연의 생산력을 극대화해 활용하는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해조류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실내 양식 기술 개발은 스마트 양식 시스템 구현으로 대도시 소비지 중심의 생산과 함께 연중 다양한 종류의 해조류를 생산해서 육상 야채 대용품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미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해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가 해조류 양식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고수온 등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요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과 고가의 해조류 추출물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주요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된 해조류 육종 품종의 개발이 이뤄진다면 대규모의 양식을 통한 양산 체계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해조류 양식과 육종 기술은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 해조류 산업의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해가야만 한다. 또한 세계시장 확대를 위해 ASC-MSC 해조류 국제인증 확대를 통해 친환경적이고 건전한 웰빙 트렌드에 맞춰나가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