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 이끌 적임자 선택에 관심 기울여야
상태바
수협중앙회 이끌 적임자 선택에 관심 기울여야
  • 탁희업 기자
  • 승인 2023.02.06 0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기 수협중앙회장 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후보자 등록을 마감한 결과 예상대로 전임 수협 조합장 2명과 전임 수협중앙회장 등 3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이들은 오는 16일 투표 전날까지 선거 활동에 매진해 경쟁을 벌이게 된다.

이번 제26대 수협중앙회장 선거는 여느 선거와 달리 중요성이 한층 높아졌다. 어촌과 어업인, 수산업을 둘러싼 여건과 환경이 크게 바뀌었다. 3년여 지속된 세계적인 팬데믹 코로나19 사태로 생산과 소비, 유통 등의 형태가 변화됐다. 어촌 사회는 고령화 등으로 일할 사람을 구하기 어렵고, 바다 환경은 이상기후 등으로 자원 고갈이 심화되고 이 때문에 생산성도 낮아지고 있다.

대외적인 환경 역시 위기감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곧 해양에 방류할 것이라고 공언하고 실행에 옮길 태세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 통상 개방도 현실화될 전망이다.

올해 초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올해 수산업은 소비 위축과 고금리,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어가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며 경기둔화 등으로 리스크가 존재한다고 전망했다. 한 조사 결과에서는 어업인과 수산업계도 60% 이상이 올해 수산업 전망이 밝지 않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협중앙회의 지방 이전 문제까지 불거져 새로운 회장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수산업과 어촌의 위기감이 고조됨에 따라 출사표를 던진 세 후보는 어업인을 위한 수협이 돼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캐치프레이즈와 공약에서 차별점을 보이고 있지만 낙후된 어촌 발전과 어업인들의 권익 향상, 회원 조합들의 경영 안정과 발전이라는 지향점은 같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차기 수협중앙회장은 위기의 수산업을 살리고 어업인과 어촌사회 발전을 선도적으로 이끌 능력과 자질을 갖춰야 한다. 비록 수협중앙회장이 비상임 명예직으로 책임은 없고 권한만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어업인을 대표하는 책무가 주어지는 만큼 책임과 의무, 도덕성과 능력을 골고루 갖춘 사람이 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투표권을 가진 일선 수협 조합장과 수협 전체 구성원들의 관심과 정확한 분석, 판단이 필요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해 치러지는 이번 선거 역시 깜깜이 선거가 될 우려가 높다. 차기 회장 적임자를 찾아내기가 그만큼 힘들다는 것이다.

선거운동은 후보자 본인만 할 수 있고, 전화, 문자메시지, 중앙회가 운영하는 전자게시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호별 방문이나 접촉이 안 되며 후보자의 능력을 비교할 수 있는 합동토론회도 열리지 않는다. 후보자의 자질은 물론 능력 등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돼 있다.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 검증은 더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선거권을 가진 이들이 스스로 후보자를 검증해야 할 지경이다. 후보자가 혈연, 학연, 지연 등에 공을 들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마침 후보자 3명은 모두 영남지역 출신으로 지역 간 경쟁은 피하게 됐다. 하지만 호남지역 출신이 한 명도 없는 만큼 호남지역의 표심에 따라 승패가 좌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이번 회장 선거는 막판까지 특정지역의 표심잡기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수협중앙회와 수협 조직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능력과 역량에 따라 적임자가 뽑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적임자를 찾기 위해서는 후보자들의 공약을 꼼꼼히 진단하고 공약의 실현가능성은 물론 미래 발전 방향도 비교해봐야 한다.

수협중앙회장 투표권은 91개 수협 조합장과 현 회장 등 92명이다. 특히 조합장들은 오는 3월 8일 전국 조합장 동시선거를 앞두고 있어 내 코가 석자다. 하루하루 눈코 뜰 새 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지만 전체 어업인을 대표하는 수협중앙회장 선택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누가 어업인과 수산업의 위기를 극복해나갈 적임자인지, 미래 지향적으로 수협 조직을 이끌어나갈 리더인지를 다양한 시각으로 검증하고 확인해야 한다. 강한 리더십은 물론 정부나 정치권, 타 산업과 협력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활동성을 갖추고 있는지, 개인의 욕심보다는 수협 조직과 어업인들을 위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수협 조직원 역시 방관자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의견 개진에 나서야 한다. 투표권을 가진 조합장이 개인 간의 친소관계에 치우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 제안도 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