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수산부산물 재활용률 30% 목표
상태바
2027년 수산부산물 재활용률 30% 목표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3.01.16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산부산물 재활용’ 첫발… 해수부, 1차 법정 기본계획 발표
자원순환 기반·연구·생태계 등 산업 육성에 1000억 원 투자

오는 2027년까지 수산부산물의 재활용률을 30%로 높이고 수산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산업을 육성하는 데 1000억 원이 투입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어업인,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과 지속가능발전국가위원회 협의 등을 거쳐 ‘제1차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제1차 수산부산물 재활용 기본계획은 ‘수산자원의 순환체계 기반 구축’이라는 비전 아래, 수산부산물의 재활용률 제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 확대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3대 전략과 10대 세부과제를 담고 있다.


3대 추진 전략의 핵심은 전주기 수산부산물 자원순환 기반 구축이다. 이를 위해 수산부산물 분리배출 확대, 맞춤형 전처리·자원화 시설 구축, 재활용제품 수명주기에 따른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부류별 재활용 여건과 현장 수요를 감안해 수산부산물의 분리배출을 확대하고, 분리배출 의무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공동집하장과 같은 지역단위 분리배출시설을 확충하고, 수협 등 생산자단체가 영세어업인의 분리배출 업무를 위탁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재활용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패류 껍데기에 대한 전처리 시설을 확충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지역별 수산부산물 현황 및 지역특화산업, 재활용 기술 수요 등을 고려해 품목별 전처리·자원화 시설을 확충해나갈 방침이다.


수산부산물 재활용 제품의 수명 주기에 따른 맞춤형 판로 확대 정책도 실시한다. 수산부산물의 수요자와 공급자를 자동으로 매칭해 상호 필요한 수산부산물을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 그중 하나다.


두 번째 전략으로, 국가 연구개발 사업을 통해 수산부산물의 고부가가치 자원화를 위한 재활용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연안과 어장의 환경 개선을 위해 수산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특히 양식어장의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굴껍데기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 기준, 사용방법, 효능평가 지침 등을 마련하고, 해역별 현장 환경평가도 추진할 계획이다.


연안과 어장의 환경 개선을 위해 수산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소재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면서 수산부산물 연구개발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수산부산물 재활용 정책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중앙 및 지역에 차별화된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우선 해수부를 중심으로 수협 등 유관기관, 지자체로 구성된 ‘수산부산물 정책추진단’을 운영해 지속적으로 과제를 발굴하고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산부산물의 재활용 등 수산자원의 순환이용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교육과 홍보를 확대해나간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물 생산어기에 따른 주요 부산물 발생 시기에 맞춰서 권역별·대상별로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하고, ‘수산자원 전주기 순환’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보급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 수산물의 생산부터 수산부산물의 처리, 재활용까지 전주기에 걸친 자원순환 관리를 통해 연안·어장 환경을 살리고, 수산부산물이 어촌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