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어촌 미래 위한 인재 육성정책 강화해야
상태바
수산업·어촌 미래 위한 인재 육성정책 강화해야
  • 탁희업 기자
  • 승인 2022.12.05 08: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촌의 고령화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정주여건이나 생활 환경이 열악한 어촌의 경우 고령화 속도가 도시보다 훨씬 빠르며, 소멸이 우려되는 어촌이 부지기수다. 수산업 현장도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 의존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사람이 없어 조업이 불가능하다는 한숨소리도 깊어진다.


수산자원 고갈과 바다 환경 변화, 각종 생산원가 상승, 조업지역 축소 등 현장 여건이 악화되고 위기감이 짙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산업과 어촌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것이 사람이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선결돼야 할 과제가 사람이다.


미래 세대가 수산업의 가치를 공유하고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기회를 보장해주려면 사람들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줘야 하는 것이다.


수산업의 미래를 짊어질 젊은 세대에게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주고자 시작한 인재 육성사업이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 지난달 29일 열린 ‘해양수산 인재 육성의 날 기념식’은 미래 세대를 양성하고 확보하는 작은 울림이라 할 수 있다. 공동화, 고령화, 인력난에 시달리는 수산업·어촌사회에서 미래를 위한 대비에 나선 것으로도 볼 수 있어 한 줄기 희망의 빛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산업과 어촌에 대한 인식이 결코 녹록지 않고 변화에 부응하는 바람도 체감할 정도에 못 미쳐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수산업과 어촌에 대한 인식은 힘들고 어려운 일로 치부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대 대학생 중 수산업에 진출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낡고 오래된, 힘들고 고된 업종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산계 학교로 진학하는 비율도, 관심도 떨어진다. 이에 따라 수산계 고등학교도 사라진 지 오래다. 대학 역시 같은 상황이다. 어촌과 수산업에 젊은 인력을 공급할 기관이 없는데 인력이 공급될 리 만무하다.


어촌사회의 진입장벽 역시 그대로다. 고령화로 어촌 소멸을 심각하게 논의하고 있지만 기존 어촌사회에서는 외부인들에게 진입 기회를 원천 봉쇄하고 있다. 20여 년을 함께 살아도 어촌계 가입이 실현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귀어귀촌은 실현 불가능한 남의 일이 되고 있다.


우선 민간에서 시작된 인재 양성운동에 정부가 힘을 보태야 한다. 정책의 우선순위부터 지원정책까지 재검토해 수산업과 어촌을 재도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글로벌 수산물 수출 1위를 달성한 노르웨이는 인재 육성 시스템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산기업과 대학생 간 협력 프로그램으로 기업의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교육 등 다양한 인쟁 육성정책이 그 바탕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양식, 수산물 가공 현장에서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높은 수준의 자동화 혁신을 달성하고 있다.


최근 수산정책도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자동화, 기계화를 넘어 스마트화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막대한 예산도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과감한 투자와 정책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산업의 혁신을 추구하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에 그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높은 수준의 인적 자원을 갖추지 않고 예전과 같은 사고와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정책은 혁신보다는 땜질식 처방에 그치게 되는 것이다. 고교부터 대학, 졸업생은 물론 일반사회인들도 수산업과 어촌에 관심을 두고 눈길을 둘 수 있는 교육과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젊은 세대가 수산업에 종사하고 어촌에 정주하는 것을 목표로 삼을 수 있도록 정책도 변화돼야 한다. 진입장벽이 견고한 현재 상황에서 젊은 세대나 도시인들이 어촌으로 발길을 돌리기는 어렵다.


양식장 면허를 취득하거나 어업허가, 어선을 구입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20년을 살아도 어촌계원이 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어느 누가 어촌으로 발길을 돌리고 수산업에 참여하겠는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어촌뉴딜 300사업, 바다목장화, 귀어귀촌 정책도 수준 높은 인적 자원의 수급이 없다면 효과는 기대치에 훨씬 못 미칠 것이다. 현재 확보된 우수 인력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 수산업과 어촌 현장을 누비는 후계인력에 대한 지원과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인재 육성의 날 기념식은 미래 수산업과 어촌을 주도할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이러한 작은 움직임이 수산업 재도약의 발판이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 변화가 이뤄져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