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플라스틱 생태적 위험 한계치 도달
상태바
바다 플라스틱 생태적 위험 한계치 도달
  • 안현선 기자
  • 승인 2022.02.21 08: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WWF 플라스틱 오염 관련 보고서 발간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총망라한 종합 보고서가 나왔다.

세계자연기금(이하 WWF)은 ‘플라스틱 오염이 해양생물종, 생물다양성,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2590개 이상 연구를 검토 분석해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생물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규모에 대해 가장 포괄적이고 최신인 전망을 내놨다. 

WWF는 21세기 말까지 그린란드 면적의 2.5배가 넘는 해양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50배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이 2배 이상 증가해 2050년에는 바닷속 플라스틱 쓰레기가 4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여러 지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1㎥당 1.21X105 이상 존재하는데, 이는 ‘생태적 위험 한계선’을 넘어선 것이다.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 생태적으로 생명이나 자연환경을 유지하는 데 상당히 위협받는 상태다.

특히 지중해, 동중국해, 황해, 북극 해빙지역 등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집중되는 특정 ‘핫스팟’은 이미 한계치를 초과해 생태적으로 회복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된 해양생물종의 88%가 플라스틱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예컨대 전체 바닷새의 90%, 전체 바다거북의 52%가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위장에 플라스틱 조각이 가득한 바다거북, 올가미에 목이 잘리기 직전인 물범 등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 때문에 내·외부 부상을 겪거나 사망한 해양동물 소식이 숱하게 들려오는 현실이다.

플라스틱은 생물의 이동과 성장을 저해하며 섭식, 면역 반응 또는 생식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랜 시간 썩지 않고 미세플라스틱, 나노플라스틱 형태로 잘게 부서져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 남획이나 지구온난화, 부영양화 등 다른 위협 요소가 발생할 경우 그 영향은 더욱 커진다. 

한편 플라스틱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압박 역시 거세지고 있다. WWF는 오는 28일부터 열리는 유엔 환경총회에서 각 국가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을 세울 수 있도록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 조약을 채택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100개가 넘는 글로벌 기업과 700개 이상의 시민사회단체, 유엔 회원국의 4분의 3에 달하는 156개국이 이를 지지한 상태다. 또한 전 세계 200만 명 이상이 WWF의 ‘노 플라스틱 인 네이처’ 캠페인 청원에 참여해 국제사회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WWF 글로벌 해양 프로그램 기슬레인 르웰린 부국장은 “우리는 플라스틱 오염을 멈추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 해양생태계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된다”며 “이제는 국제 조약을 미루는 어떠한 변명도 수용해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플라스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전 주기에 걸친 문제를 다루고, 2030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막는 구속력 있는 국제 조약에 동의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