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어업 조업 영역 확대로 수산자원 감소
상태바
기업형어업 조업 영역 확대로 수산자원 감소
  • 한국수산경제신문
  • 승인 2018.09.12 16: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동 거리 2배 늘었으나, 어획량 1/3 불과
지난 65년간 공해에서의 남획 또한 증가해


지난 1950년부터 2014년까지 65년 동안 기업형어업의 조업 이동 거리가 두 배로 늘어났으나, 이동한 거리당 어획량은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이하 UWA)과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이하 UBC)의 공동 연구팀은 어획량에 대한 고해상도 지도를 바탕으로 기업형어업의 조업 영역 확대를 조사했다.

그 결과, 기업형어업이 평균 조업을 위해 이동한 거리는 2배로 증가했으며, 조업 어장 면적은 60%에서 90%로 확대됐다.

그러나 확대된 지역에도 불구하고 세계 기업형어업의 어획량 80%를 담당하는 상위 20개 국가의 선단은 훨씬 적은 양을 어획하고 있다.

기업형 어선의 어획량은 2014년 1000km 당 약 7톤을 어획했으며, 이는 1950년대 1000km당 약 25톤의 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기업형어업의 생산성은 1996년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기업형어업의 조업 영역 확장에도 어업 생산성에 물리적 한계에 다다랐으며, 이에 기업형어업의 생산성의 지속적인 하락세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996년 이후 지역당 기업형어업 어획량은 22% 감소했다. 이는 극지방으로의 어장 확대에도 불구하고 어획량 감소 추세는 되돌릴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UWA의 연구원인 데이비드 티클러는 “기업형어업이 어획을 위해 더 많은 연료와 시간을 소비하지만 이전처럼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어획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부 국가의 경우, 보조금을 통해 기업형어업이 먼 해역에서 조업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기업형어업의 조업 구역을 연도별 매핑한 결과, 대부분 국가는 자국 수역에서 어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 중국, 대만, 스페인 등 보조금과 연료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국가의 어선은 자국에서 수 천 km 떨어진 해역에서 조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연구자들은 기업형어선에 보조금 지급 시 비효율적이고 지속 불가능한 어업을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보조금이 없을 시 이러한 국가의 어업 이익은 크게 줄어들거나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추정했다.

러시아와 일본의 경우 현재 해당 관할 수역의 조업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상위 20개 기업형어업국 중 11개국은 1950년대 이후로 조업 영역을 넓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업 영역의 확장은 전 세계의 수산자원에 대한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조업 영역의 확장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대륙의 연안과 군도에서 가장 많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어획은 대륙붕에서 이뤄지지만, 지난 65년간 공해에서의 남획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UBC의 수석 연구원 대니얼 파울리는 “지속적인 조업 어장 확대와 어업 노력의 강화로 극지방을 제외한 지역에서 수산자원의 감소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연구 공동 저자인 UWA의 제시카 미우윅은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기업형어업을 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