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상태바
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 윤창훈
  • 승인 2012.06.2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
김학소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

경제성장과 웰빙,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 확산에 따라 중국 등 세계 여러나라의 수산물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수산물의 글로벌 교역규모는 1조9800억 달러로 추정되며, 가공산업과 유통부문의 부가가치도 8180억 달러로 성장했다.
이같은 글로벌 환경에 대응해 노르웨이는 지난 1990년을 기점으로 노동중심에서 자본중심으로 수산업 생산체제를 변경했다. 노르웨이 선망어업의 단선화는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기존 22명 이상의 어선원이 필요한 선망어업의 생산체계를 9명 미만으로 생력화한 것이다.
이웃나라 일본도 세계시장의 수요를 고려해 글로벌한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나섰다. 실제로 세계최대 수산기업 중 하나인 마루하니치로가 중국시장을 겨냥해 해삼양식에 착수했다는 소식이다. 도한 원양회사인 닛스이는 해양법협약 이후 글로벌 수산자원을 소싱하기 위해 전 세계 자원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링크를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정부 차원에서 근해어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업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저연료 소비형 어선으로 대체하는 것은 물론, 저탄소 어업 실현 정책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앙식업 분야에선 환경수용능력을 고려한 양식업 구조 재편과 경영 규모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더해 수산업의 2, 3차 가치사슬를 강화하는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 수산물 시장은 외형적으로 성장했지만 생물과 냉동품 공급 비중이 80%를 점유하고 생산과 소비의 연계성이 취약한 실정이다. 수산물의 가공산업 부가가치율은 일반식품보다 여전히 낮고 총 가공량 가운데 냉동품이 66.7%, 고차가공의 경우 11.8%에 불과하며 해를 거듭할 수록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가공업체와 외식업체가 취급하는 전처리 식재료의 사용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게 현실이다.
이를 위해 산지 위판 중심의 수협 판매사업을 도매물류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 신 계통판매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산자와 구매자, 소비자의 직거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현재 부산에 추진 중인 산지거점유통센터와 소비지분산물류센터를 결합해 생산단체 주도의 유통구조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
더구나 노르웨이 사례처럼 생산과 가공을 연계한 산지 대형가공업체를 육성하고 국산 수산물의 고도이용 가공생산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령별, 성향별, 시장별 상품을 개발해 보급하고 로컬푸드 확대를 통한 지역 수산물의 이용을 확대해야 한다. 또 학교급식 시장에 국내산 식재료 공급을 늘려가고 어업인과 가공업체가 공동 투자한 수산식품기업의 육성을 지원해야 한다.
최근 중국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개시한 것을 비롯해 콜롬비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과도 협상이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중국은 전 세계 수산물 생산의 38%, 교역량의 10%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 중국 수산물 수입은 지난해 말 기준, 수입은 12억5000만 달러이며 수출은 4억6000만 달러에 이른다.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하고 있지만 수입규모가 압도적으로 많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한-중 FTA로 국내 수산업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수산물 수입의 30%가 중국산으로 채워져 FTA에 따른 관세인하 이후 큰 피해가 예상된다.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워 냉동수산물뿐만 아니라 활어와 신선, 냉장 수산물에서 국내산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중국어선의 서해 불법조업이 만연해 FTA 체결 이후 우리나라 수출을 위한 불법조업이 늘어날 우려가 높다.
협동조합의 경제사업도 이제 변화의 파고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3월 농협법 개정으로 경제사업 지주회사가 도입됐다. 농협은 산지유통에 개입, 공동판매에 기반한 전국적 판매조직화를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수협 지도경제사업 역시 공동마케팅과 종합 컨설팅 지원으로 중심축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