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스포츠제전 이대로 좋은가
상태바
해양스포츠제전 이대로 좋은가
  • 남달성
  • 승인 2007.08.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
제2회 전국 해양스포츠제전이 10일부터 나흘간 강원 삼척시 맹방해수욕장 등지에서 열리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이 대회는 청소년들의 바다에 대한 도전정신과 진취적인 해양사상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공식경기 이외에도 번외종목으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수상오토바이 고무보트놀이 등도 곁들였다는 것이다.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요트나 윈드서핑 카누 등 해양레포츠는 돈 많고 여유가 있는 상류층의 놀이문화로 국한돼 있었으나 국민소득 향상과 더불어 주5일 근무제 등에 따른 여가문화로 우리주변까지 밀려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양스포츠제전을 놓고 갖가지 말들이 많다. 첫째 예산과 인력낭비다. 지난해 8월 경북 울진에서 열린 첫 대회에 든 비용은 14억 원, 올해 제전에도 10억 원이 훨씬 넘는다니 해양수산부가 본연의 업무를 팽개치고 놀이문화 성격이 짙은 이 대회에 국민의 혈세를 펑펑 쏟아도 되는지 묻고 싶다. 또 인력도 해양수산부가 구성한 관련기획단 7명과 강원도와 삼척시 관계자 10명 등 모두 20여 명이 이 행사추진을 위해 투입되고 있는 것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행사가 끝나면 제자리로 돌아가겠지만 그동안의 행정공백 현상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둘째 현 정부조직은 기능별로 분류돼 있는 게 통례이긴 하지만 해양수산부는 이 같은 기능 외에도 바다라고 하는 영역을 모두 관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다른 부처의 반발을 사고 있다. 예컨대 농사와 농업인에 대한 업무는 농림부가 맡고 국민보건과 복지에 대한 일은 보건복지부가 관장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수산부는 부(部)존립을 위해 해양에 관한한 모든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는 것 같다. 때문에 문화관광부가 체육진흥은 자신들의 소관이라며 이번과 같은 해양축제를 못 마땅히 여겨 불협화음을 일으키고 있어 대책마련이 뒤따라야 할 것같다.

셋째 과연 이 같은 해양스포츠 제전을 치르면서 기획단 설치가 합당하는가 하는 점이다. 해양수산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주요 현안을 신속히 타개하기 위해 태스크 포스나 기획단을 설치, 운영한다. 항만물류 유치와 배후단지 개발을 위한 동북아물류기획단과 미래의 해운 항만과 수산 조선산업 육성에 따른 해양전략기획단을 임시로 운영하다가 해산했고 지금도 2012 엑스포 유치기획단을 설치, 유치에 만전을 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지난해 11월 세운 수산정책혁신기획단은 강무현(姜武賢)장관이 오자마자 왜 폐지했는가.

지금 수산은 세계무역기구(WTO)협상진행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외적 환경변화에 따라 힘든 투쟁을 하고 있는데 수산정책혁신기획단 마저 없앤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우리는 수산정책기획단이 해양스포츠제전 기획단보다 설립근거가 약하다고는 보지 않는다. 지금 수산공직자들의 업무 가운데 70% 이상이 민원이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수산발전 기획을 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다시 한번 재고해 주길 바란다. 넷째 계층간의 위화감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도 우리주변에는 빈부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어촌지역을 대상으로 해양스포츠제전을 개최할 경우 빈부와 세대간의 격차로 또 다른 사회적 문제가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된다. 지금 남해안 일대에는 최근 발생한 적조로 애써 키우고 있는 고기들이 죽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마침 해양스포츠제전 개최지가 삼척이어서 남해안과는 먼 거리에 있다고는 하지만 적조차 세차게 창궐하면 불원간 삼척까지 북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너무 사치스럽게 행사를 진행하거나 요란을 떨면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는 다는 보장도 없지 않은가.

다섯째 해양을 관장하는 해양수산부가 바다와 관련된 행사를 하면서 유독 어촌토속문화를 소홀히 한다는 것도 문제다. 어촌토속문화는 지역주민들간의 화목과 협동을 다지고 전통문화 계승과 예술성을 가미한 행사들이 주축을 이룬다. 서해안의 배연신굿과 대동굿 위도 띠뱃놀이 등에 관심을 갖고 육성해야 하는 것도 해양수산부 몫임을 깨달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