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지속 가능한 수산업·어촌 발전 방향
상태바
코로나19 이후 지속 가능한 수산업·어촌 발전 방향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0.08.03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MI 수산혁신총괄지원단장
KMI 수산혁신총괄지원단장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사회·경제적 환경이 바뀌고 있다. 수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수산정책의 틀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 바다. 

우리 수산업은 연근해어업의 수산자원 감소와 전체적인 수산물 소비 둔화, 어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의 문제점과 복잡한 수산물 유통과 저차 가공에 따른 고부가가치 창출 한계, 수산식품 유통 가공업체의 영세성 등 구조적인 문제점도 안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속가능한 수산업과 어촌 발전을 이루기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해본다. 

첫째, 수산업 전 주기 디지털화다. 수산업 밸류체인 고도화를 위한 전 주기 데이터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생산 부문의 공공데이터와 유통·가공·소비 부문 민간 데이터의 디지털화 및 연결성을 강화해야 한다. 

스마트 수산자원 관리 시스템은 불법조업 모니터링, 스마트 금어 모니터링과 통합적 수산자원관리가 가능해진다. 양식장 디지털 플랫폼은 양식장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실시간 이력관리, 효율적인 면허관리, 수산물 이력제와 연계된다. 또 공공데이터 기반 수산식품 개발과 수요 예측 정밀화로 수산물 유통 효율화도 이룰 수 있다.

수산물 온라인 유통 플랫폼 활용 확산을 위한 비대면 사업 기반 구축도 필요하다. 생산, 유통, 가공, 소비 단계 등 전 과정 비대면 사업화로 전국 수산 기반시설의 디지털화가 이뤄져야 한다. 

둘째, 친환경 소비문화의 확산이 전개돼야 한다.

해양(어장)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수산자원관리를 위해 친환경 수산물 생산·소비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친환경 기자재·기술 확보와 친환경 인증제 활성화, 스마트 이력관리로 친환경 수산물의 공급·소비 활성화를 위한 친환경 수산물의 확산, 지속가능한 친환경 수산업 인프라 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어촌형 생활서비스 모델 구축·확산이다. 국토 외곽지역의 열악한 어촌과 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어촌 입지환경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거점형(지구별수협), 마을형 생활서비스 모델 시범 구축 및 확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스마트 어촌 조성이다. 어촌사회에 축적된 사회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지속가능한 포용적 어촌 개발 모델 추진이 필요하다. 디지털 스마트 어촌, 어촌형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지역 네트워크 구축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리빙랩 방식 도입으로 새로운 어촌 개발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어업작업 안전재해 예방 강화다. 어업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한 인력 손실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안전실태 조사체계 구축, 예방 교육 및 제도 개선, 안전재해 예방 기술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여섯째, 어촌·섬 클린에너지 공급이다. 어촌·섬 주민의 신재생에너지 자립 지원과 탄소 제로화 지원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 개발·보급, 도서지역 수소 공급, 탄소 제로섬 조성 등 어촌·섬 지역의 환경, 입지 특성을 고려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나서야 한다.

일곱째,수산 부문 일자리 창출이다. 수산 부문 디지털·뉴그린,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통해해바다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산업·어촌의 공익형 직불제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

전통·경관, 공동체, 환경 등 수산업·어촌 공익 증진 직불제로 단계별 확대 추진이 필요하다. 해양재난 구호 직불, 어촌다움 유지 직불, 바다환경 개선 직불 등을 추진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