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어업유산의 가치
상태바
한국 어업유산의 가치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0.06.22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절 위협 요인과 도전
지난 수십 년 동안 마을어장은 바지락, 낙지, 김, 굴 등 어업인들의 경제활동을 책임졌다. 가난한 보릿고개 시절에는 ‘갯것’들에 의존해 의식주는 물론 아이들의 교육비도 해결했다.

세계무역기구(WTO)와 우르과이라운드(UR) 등으로 쌀농사가 수산업보다 일찍 타격을 받아 농촌 주민들이 실의에 빠져 있을 때 어업은 작은 돌파구를 마련해줬다.

산업화와 근대화 속에서 논과 공장부지와 산업단지 등을 제공하며 적응과 변화를 해온 것이 마을어장이며 갯벌이었다. 이렇게 어촌마을의 생활과 생산영역을 지켜온 마을어장이 최근에는 어업자원 고갈, 환경오염, 개발정책, 시장 개방 등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첫 번째는 어업자원 고갈의 문제다. 반세기 전만 해도 패류나 해조류 생산만 아니라 민어, 조기, 농어 등 고급어종에 속하는 고기들도 배로 한 시간 이내의 마을어장이나 연안에서 잡을 수 있었다. 어장에 고기가 많았으며 회유성 어종들은 철이 되면 어김없이 구로시오 해류를 따라 흑산어장, 칠산어장, 연평어장으로 돌아왔다.

지금은 칠산바다에서 조기를 찾기 어렵다. 마을어장 독살이나 건강망으로 잡았던 농어나 조기는 옛말이 됐다. 그 자리에는 겨우 숭어 정도가 그물의 체면치레를 해줄 뿐이다. 어류만 아니라 패류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완도나 무안 등 일찍이 김 양식을 했던 마을어장들은 더 이상 김 양식을 지속할 수 없다. 어장이 노후화되고 규모화되어 경쟁력을 잃었기 때문이다. 또 양식기술이 발달해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해 양식어업을 하고 있다.

마을어장에서 이뤄지는 어업 행위 중 멸치잡이 등 죽방렴, 건강망, 낭장망 등 정치망의 생계형은 거의 사라지고 있다. 조류 소통이 좋은 일부 지역에서만 이뤄질 뿐이다. 이렇게 마을어장을 비롯해 연안에 어자원이 고갈되면서 정부에서는 수산원 보호구역, 해양보호구역, 생물권보전지역 등 각종 법과 제도로 어자원을 회복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싹쓸이 저인망 어선의 폐선 및 고대구리(소형기선저인망)어업 금지, 해조류양식의 약품 처리 자제와 대체 양식법 개발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마을어장의 어자원은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있다.

둘째, 지구온난화에 따른 마을어장의 변화이다. 수온이 1℃ 올라갈 때 대기 온도는 10℃가 올라간다. 지난 40년 동안 동해안은 0.8℃ 내외, 남해안은 1℃ 정도 수온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석탄과 석유 등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메탄가스가 늘어나 지구온난화가 심해진 것이 해수온도의 주 상승요인으로 지적됐다. 이 때문에 수온 상승, 해류 변동, 먹이생물의 변화 등 해양환경의 체제 전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해수 온도의 변화는 국내 어장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아열대나 온대해역에서 잡히는 초대형 가오리나 문어가 잡히고 있다. 국내에 서식하던 오징어, 멸치, 고등어 등 난류성 어종은 겨울에도 잡히고 한류성 어종인 명태는 국내 해역에서 자취를 감췄다.

난류성 어종의 한계선도 점점 북상하고 있다. 이는 광어, 성게, 전복 등 마을어장의 주요 어자원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 수온이 올라가면서 해파리가 많아 그물어업을 하는 어업인들은 조업이 어려운 실정이다.

해파리 못지않게 급격하게 늘어나는 불가사리의 피해도 크다. 어류 양식장에서 쏟아지는 먹이와 패류 양식에 의해 뿌려대는 치패들은 불가사리의 좋은 먹이다. 이들은 통발을 비롯해 정치망 그물에 잡힌 어류까지 먹어대며 전복 양식에도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문제는 이를 퇴치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이러한 생태계의 변화도 마을어장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인간의 욕심이 바다를 불가사리의 천국으로 만들어낸 셈이다.
<자료 제공=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