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쟁력 갖춘 김 수출 전략 모색해야
상태바
글로벌 경쟁력 갖춘 김 수출 전략 모색해야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0.06.01 0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자 스택과 김을 결합한 타오케노이 김 스택 제품.
감자 스택과 김을 결합한 타오케노이 김 스택 제품.

태국 김 식품시장 상승세 뚜렷

과거 김은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 반찬으로 주로 소비됐으나, 최근 해외에서 감자칩, 팝콘 등을 대체하는 저칼로리 웰빙 스낵으로 인기를 끌면서 전 세계 김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태국서 김 스낵 인지도 높아져
글로벌 식품으로서 김의 위상이 점점 높아지면서 해외 시장의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태국에서는 건강스낵으로 인식되고 있는 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국 소비자들은 조미김을 과자로 즐겨 먹고 있으며, 최근 몇 년 사이 김 스낵 열풍 덕분에 김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아주 빠른 속도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일례로 태국의 대표 김 회사 타오케노이에서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감자스낵과 김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김 가공품을 만들어냈다. 거부감 없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며, 바삭거리는 식감을 더욱더 높인 스낵으로 소비자들의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건강과 관련한 스낵 제품군 확대
타오케노이는 주요 수출대상국인 중국 내에서 자체 김 스낵 생산이 증가해 수출이 줄어드는 상황과 유사상품과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을 타개하고자 최근 글로벌 메가트렌드인 건강을 내세우고 건강 스낵 제품군을 늘리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타오케노이는 태국 내 건강스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대표 상품이었던 김 스낵 제품 비율을 조정하고, 천연재료로 만든 프리미엄 스낵, 채식 기반 스낵, 프로틴 스낵 등 건강과 관련된 스낵 제품군을 확대해 360억 바트(약 12억 달러) 규모의 건강 스낵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한편 2019년 태국 김 스낵 시장은 29억 바트(약 9100만 달러) 규모로 기존의 굽거나 튀긴 김의 매출은 정체되는 가운데 다양한 맛과 형태를 변형하거나 건강 콘셉트를 강화한 신규 스낵은 지속적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우리나라 김을 원료로 사용해 가공
태국 김 스낵 시장은 성장하고 있으나 태국의 기후와 생산 환경은 김의 성장 조건과 맞지 않아 자체 생산이 어려운 관계로 스낵 김 원료인 마른김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태국의 마른김 수입량은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 기준 전년 대비 12.3% 늘어난 85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주요 수입대상국은 한국(91.1%)과 중국(8.8%)으로 전체 수입시장의 98.5%를 차지하고 있다. 태국은 한국과 중국 등지에서 원료인 마른김을 수입한 후 다양한 가공 김을 제조해 인근 동남아시아와 유럽, 미국 등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김 가공품을 만들어내고 있는 태국의 경우에도 원료 자체가 수급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경우 태국 김 가공품의 원료가 되는 마른김을 제공하고 있는 입장으로 향후 우리나라 김 가공품 다양화와 수급 측면에서 따져봤을 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부분을 다분히 가지고 있다.

수출 경쟁국 상황 모니터링 필요
지난 2010년 1억 달러에 불과했던 우리나라 김 수출은 2017년 크게 성장해 사상 처음으로 5억 달러를 넘어섰다. 2017년 수출액 기준 전년 대비 45.4%가 증가한 괄목할 만한 성장이었다. 
우리나라 김 수출은 2019년 기준 전체 수산물 수출의 23.1%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부품목별 비중을 살펴보면 조미김 65.2%, 마른김 34.7%로 조미김 수출의 비중이 더 높다. 이는 우리나 김 수출 구조는 김 원료 수출에서 나아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조미김 수출 구조로 나아간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타국의 유사경쟁 제품군이 쏟아져나오고 있는 상황 속에서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더딘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글로벌 해조류 시장의 성장과 변화하고 있는 글로벌 트렌드에 발맞춰 우리나라 김 제품군의 스펙트럼을 넓히고, 수출 경쟁국의 상황을 항상 모니터링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수출국 다변화를 통해 수출 시장 확보 및 수출 양적 확대에서 나아가 수출의 안정적 성장 측면까지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제공=한국해양수산개발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