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의 유통 인프라 구축 및 확대방안
상태바
수협의 유통 인프라 구축 및 확대방안
  • 한국수산경제
  • 승인 2020.05.06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방위 수산물 유통혁신이 해답이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소비 트렌드 변화
수산물은 유통구조 복잡해 유통비용 비중 매우 높아 
수협, FDC·FPC·H-FAM 등 유통 인프라 확대 추진
‘신선한 수산물 부두에서 현관까지’ 캠마켓 사업 도입
수협쇼핑·공영홈쇼핑 등 온라인 판매채널 매출 증가
로컬 식자재매장 활용한 직매장사업 소비 확대 기대

 

양동욱 수협중앙회 경제상임이사
양동욱 수협중앙회 경제상임이사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는 요즘 창밖으로만 보는 봄 풍경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음을 느낀다. 벚꽃이 만개했나 싶더니 어느새 꽃잎이 진 나뭇가지에 연초록빛 새잎들이 무성해졌다. 계절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듯하다.
시나브로 변해가는 것은 비단 계절뿐만은 아니다. 특히 최근 수산물 소비 트렌드를 보고 있자면 수십 년을 수산업 분야에 종사해온 필자의 경험이 무색하다고 느껴질 정도로 변화무쌍하게 진화하고 있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수산물은 여전히 전근대적 시설에서 유통
지금 우리나라는 고령화와 1인 가구, 맞벌이 증가 등의 영향으로 생활 패턴이 전방위에 걸쳐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동시에 편의성을 선호하는 젊은 층의 수요 증가로 구매채널의 다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 물건을 내놓으면 손님이 찾아와 사가던 과거의 소비행태는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로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로 공급이 이뤄져야 하는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에 비해 수산물 유통환경은 어떠한가. 
여전히 과거의 형태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복잡한 유통구조 속에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또한 낙후된 시설에서 수산물 판매가 이뤄지다 보니 위생, 안전에 민감한 소비자 눈높이를 따라갈 수 없는 실정이다.
이 같은 수산물 소비환경과 유통환경의 괴리는 소비자와 어업인 모두에게 불만족을 야기하고 있다. 소비 트렌드는 날로 새로워져 소비자의 인식과 안목은 높아져가는데, 수산물은 여전히 전근대적 시설에서 유통되고 있다. 
소비자 가격은 산지 가격에 상관없이 계속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어 수산물 유통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과 의심만 확대되고 있다. 시장에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버림에 따라 어업인은 어획량이 줄면 물량이 감소해 소득이 줄고, 어획량이 늘면 가격 하락폭이 급격하게 커지면서 오히려 소득이 감소하는 모순적 상황에 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온라인 판매 등 직거래 유통을 확대하는 한편,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수산물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저온유통체계 등 위생적 물류환경을 구축해 소비자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FDC, FPC 건립으로 어업인 이익 늘려야
수협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이미 유통 인프라 구축·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 산지거점유통센터(FPC), 거점형 청정위판장(H-FAM) 등이 이러한 유통 인프라 구축 사업의 일환이다. 
산지(FPC, H-FAM)에서 수산물을 집적·가공한 뒤 소비지(FDC)에서 슈퍼마켓 등 개별 소매시장으로 공급하는 구조로 유통단계를 현행에 비해 단순화하고 각 단계를 저온체계로 연결해 유통비용 감소와 위생적 물류환경 조성 모두를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FDC, FPC 건립을 통해 수산물을 위생적 환경에서 유통하고 생산 단계에서의 부가가치를 증대시켜 소비자가 원하는 고급화된 수산물을 공급하는 한편, 어업인의 이득 증대도 도모할 수 있다.
현재 FPC사업은 7개 조합, 2개 일반사업자 등 전국적으로 9개 사업자를 선정했으며, 사업비는 규모에 따라 60억~160억 원 수준이다. 경주, 속초, 완도금일, 한림(이상 조합), 고성(경남, 일반사업자) 등 5개소는 건립이 완료돼 운영 중으로, 지역수산물 등을 활용한 가공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추가 4개소는 강릉, 경인북부, 보령(이상 조합), 장흥(일반사업자) 등에 사업자를 선정해 건립 중으로, 2021년 상반기까지는 건립을 모두 완료해 운영에 돌입할 계획이다. 
FDC사업은 전국적으로 인천, 나주에 2개소를 건립하고 있으며, 각각 2020년 하반기, 2021년 상반기 중 완공될 예정이다. 인천FDC는 총사업비 318억 원 규모로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수산물 유통과 분산 등을 담당할 예정이며, 호남FDC는 총사업비 164억 원 규모로 광주 등 호남광역권을 주 사업 대상으로 한다. 
또한 향후에는 새로운 형태의 ‘복합형FDC’를 추진하고자 하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이는 기존 FDC의 분산 기능에 더해 판매, 고차가공 등의 기능이 추가된 모델이다. 소비자에게 좀 더 직접적으로 다가감으로써 산지와 소비지 간의 직거래를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거점형 청정위판장(H-FAM)은 산지의 위판장에 청정시스템을 갖춰 수산물 양륙부터 선별, 위판 등의 모든 과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고흥군수협에 60억 원 규모로 건립 중에 있다. 또한 청정위판장을 신축하는 것이 어려운 곳에 대해서는 ‘저온위판장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의 유통단계 위생안전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위판장의 낙후된 시설을 개선하고 저온 유통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FAM, 위판장 리모델링 모두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는 위생적 환경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온라인 판매채널 통해 직거래 활성화
온라인 판매채널 등을 이용한 수산물 직거래 활성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캠마켓 사업이 그것이다. 위판장, 양식장 등 산지에서 ‘캠(동영상)’을 통해 당일 생산된 수산물을 촬영해 제공하면 소비자는 온라인 동영상을 통해 수산물의 선도 등을 확인하면서 구매를 결정한다. 기존 온라인 수산물 판매의 한계점인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온라인 판매의 강점인 유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부두에서 현관까지’라는 캠마켓 사업 콘셉트 그대로 산지의 신선한 수산물을 소비자 눈앞으로 옮겨놓는 셈이다.
캠마켓이 온라인 판매채널의 신규사업이라면, 수협이 기존에 하고 있던 온라인 판매채널인 수협쇼핑과 홈쇼핑 사업도 계속해서 주력할 계획이다. 
수협쇼핑의 매출액은 2017년 61억 원, 2018년 82억 원, 2019년 84억 원으로 지속 성장 중에 있으며, 2020년 110억 원 수준의 매출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공영홈쇼핑 사업의 취급액은 2017년 300억 원, 2018년 420억 원, 2019년 470억 원이며, 2020년에도 470억 원의 취급액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협쇼핑 우수업체의 입점을 확대하고 누리소통망(SNS) 등을 활용한 홍보, 판매 등을 계획하는 한편 홈쇼핑사업 전용 브랜드 육성 등을 검토하고 있다. 오프라인 채널의 수산물 직거래도 빼놓을 수 없다. 정부와 수협에서 지원하는 직매장 설치사업은 기존의 로컬 식자재매장을 활용해 수산물 직매장과 직거래장터를 운영하고 지역의 신선한 수산물을 공급한다. 소비자들은 신선한 수산물을 집 근처에서 구입할 수 있고, 지역 수산물 소비 확대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어업인의 소득도 증대될 것이다. 
빠르게 흘러가는 계절 속에서도 꽃은 피고 열매는 맺는다. 수협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수산물 소비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유통 인프라 구축 및 판매채널 확대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유통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이를 통해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어업인들에게는 합당한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와 어업인 모두가 만족하는 값진 열매를 맺을 그날이 하루빨리 다가오기를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