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겨울, 해조류 생장엔 ‘독’ 됐다
상태바
따뜻한 겨울, 해조류 생장엔 ‘독’ 됐다
  • 안현선 기자
  • 승인 2020.03.09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기 초 태풍 내습 이후 겨울철 이상 고온 지속돼
해조류 생산량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0% 줄어
채묘시기 공표 시스템 구축 및 수산종자 개발 시급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 기온 탓에 김, 미역 등의 해조류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이상 고온으로 발생하는 피해는 향후에도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조류 수급관리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발간한 동향분석 자료를 통해 해조류 생산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가까이 줄었다고 밝혔다. 

KMI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까지의 누적 김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0% 감소한 5113만 속에 그쳤다. 미역 생산량도 13.8% 줄어든 11만1148톤에 불과했다.

해조류 생산 감소는 어기 초 잦은 태풍과 겨울철 이상 고온의 영향이라고 KMI는 밝혔다. 김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김 생장을 방해하는 경쟁생물인 김파래 부착 피해가 있었고, 지난 2월부터 피해지역이 확대됐다. 미역도 태풍과 높은 수온으로 어기 초 싹녹음이 발생하고 다량의 이물질이 부착돼 생산량이 줄었다.

특히 미역 생산량 감소는 전복 먹이용 미역 공급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복은 겨울철 높은 수온으로 먹이활동이 왕성했으나, 전복 먹이용 미역은 시설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무려 15%가량 생산량이 감소했다.

KMI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이 명백히 진행되고 있는 만큼 겨울철 이상 고온 피해는 앞으로도 빈번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해조류 수급관리체계 재정비가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우선 KMI는 해조류는 채묘시기의 수온이 매우 중요한 만큼 어가들의 기존 경험에 의존한 채묘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채묘시기를 공표하는 시스템 구축과 이를 실천할 협의체 구성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KMI는 “매년 관계기관에선 수온 자료를 근거로 적정 채묘시기를 제공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김 관계자들과 양식협의회를 구성해 어기 초 적정 채묘시기를 공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수온과 해역별 특성에 맞는 수산종자 개발도 중요한 과제로 꼽혔다. 수산종자는 양식업의 근간이며, 사업 성패를 크게 좌우할 만큼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KMI는 “어가들은 소득 위주의 다수확 종자만을 선호하고 있지만, 앞으로 지속가능한 해조류 양식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종자 개발과 양식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KMI는 다시마 생산량 중 상당량이 전복 먹이용으로 이용되고 있음에도 모니터링 부재로 정확한 수급 상황을 진단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다시마 수산 관측’ 도입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