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C 인증 획득은 선택 아닌 ‘필수’ 조건
상태바
MSC 인증 획득은 선택 아닌 ‘필수’ 조건
  • 안현선 기자
  • 승인 2019.10.28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 중심으로 MSC 인증 시장 확대 추세
글로벌 호텔체인, 외식기업도 확산에 동참
동원산업·기장물산 어업 인증 획득했지만
세계 흐름에 발맞추기엔 아직도 갈길 멀어

국내에서 생산된 수산물과 수산식품을 해외로 수출하기 위해선 이제라도 해양관리협의회(MSC) 인증 획득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MSC 인증이 세계 수출 관문의 필수 조건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리테일러가 인증 확대 주도
MSC는 1997년 세계자연기금(WWF)과 유니레버에 의해 설립됐으나, 1999년 미래의 안정적인 수산물 공급을 위해 지속가능 어업 국제규격을 제정하고 도입을 장려하는 독자적인 국제 비영리단체로 발족했다. 이들은 지속가능한 자원량 유지, 환경 영향 최소화, 효과적인 관리 등의 기준을 준수한 수산물과 제품에 MSC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MSC 인증은 어업 인증, CoC(생산·유통·가공 경로관리) 인증, 해조류 인증 등 3가지로 구분되며, 세계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MSC 한국사무소에 따르면 지금까지 세계 수산물 생산량의 14%가량이 MSC 인증을 받았으며, 글로벌 리테일러로 손꼽히는 까르푸, 월마트, 코스트코, 이케아 등을 포함한 전 세계 100여 개 주요 대형마트들이 MSC 인증 제품을 판매하며 수산물 유통 환경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까르푸는 2020년까지 매장에서 판매하는 수산물의 50%를 MSC·ASC(양식관리협의회) 인증 제품으로 대체할 예정이고, 특정 고갈어종에 대해선 100%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월마트도 2025년까지 참치 제품은 100% MSC 인증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며, 일본 이온그룹 역시 내년까지 전체 수산물의 20%를 MSC·ASC 제품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힐튼, 하얏트와 같은 글로벌 호텔체인과 맥도날드, 서브웨이샌드위치 등의 외식기업에서도 일고 있다.

패트리샤 비안키 MSC 해조류 규격 전문가는 “독일과 네덜란드가 가장 큰 MSC 인증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리테일러의 참여율이 높기 때문”이라며 “최근엔 소비자들의 인식이 바뀌면서 스페인과 프랑스의 참여율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서종석 MSC 한국대표는 “MSC는 지속가능한 수산물과 수산물 추적에 대한 기준을 수립하고, 세계적인 리테일러, 호텔, 브랜드와 협업해 소비자들이 지속가능한 수산물을 소비하도록 의식을 제고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관세 장벽 되고 있는 MSC 인증
MSC 인증은 세계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제야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에선 한성기업, 삼진어묵, 오뚜기 등 40개 기업이 CoC 인증을 받았고, 1곳의 리테일러가 MSC에 참여하고 있다.

동원산업은 다음 달 6일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수산엑스포에서 어업 인증을 받을 예정이며, 기장물산도 이날 세계 최초로 해조류 ASC·MSC 인증을 받는다. 고등어를 어획하는 대형선망수협도 MSC 인증 획득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

MSC 인증은 현실에서 이미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 인증이 부착되지 않은 국산 수산물의 판로는 급격하진 않지만 장기적으로 점차 축소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도훈 부경대학교 교수는 “유럽으로 수산물을 수출하기 위해 베트남,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 전 세계 36개 국가 936개 양식장들이 전복, 새우, 굴, 틸라피아 등 다양한 어종에 대한 인증을 받고 있다”며 “유럽시장에서 MSC·ASC 인증은 프리미엄의 의미가 아닌 수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에 속한다”고 밝혔다.

또 “유럽의 수산물 소비가 늘고 수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최근엔 중국도 일본으로 수출하는 물량을 줄이는 대신 수출단가가 높은 유럽시장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MSC 인증 확대를 위해 정부가 적극 개입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어업인이나 단체가 자율적으로 수산자원을 관리해 MSC 인증을 좀 더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원체계만 구축해줘야 한다는 것.

김 교수는 “어업인이나 기업 스스로 시장에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면서 “다만 인증 기준에 맞춰 심시가 진행될 수 있도록 수산자원 등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은 정부가 맡아줘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브뤼셀과 같은 국제적인 수산식품박람회에 참석하면 우리나라만 아직까지 인증 라벨도 없는 원물 중심의 수산물을 홍보하고 있다”면서 “MSC 인증 확대를 통해 세계시장 흐름에 발맞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