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 어촌의 소멸위기와 대응
상태바
강원도 동해안 어촌의 소멸위기와 대응
  • 한국수산경제신문
  • 승인 2019.04.04 07: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충재 강원연구원 부연구위원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14%를 넘어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2018년 합계출산율은 1 이하가 확실시되고 인구절벽이 가속화되면서 향후 10년 이내에 총인구 감소가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인구감소를 실감하지 못하겠지만 농어촌지역은 이미 초고령화가 심화되고 있고, 마을소멸이 목전에 와있는 지역이 많다.
강원도 어촌은 공간적으로, 기능적으로 수산업과 관광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198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명태, 오징어 등은 강원도의 대표적인 수산물로 인식될 만큼 풍부해 수산물 생산량은 연간 15만 톤 이상이 어획됐고, 여름이면 관광객이 넘쳐났다.
과거 어촌지역에서는 사람과 물자가 소통되고 인구를 비롯한 수산업 관련 시설, 공공인프라 등의 집적으로 동해안 경제의 거점 역할을 했으나 이제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마을소멸 우려지역으로 전락했다.
강원도 동해안의 70개 어촌을 대상으로 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0.2미만의 고위험은 25개, 0.5미만의 위헌은 39개로 전체의 91%로 나타났다. 열에 아홉이 위험한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라면 2041년에는 마을소멸지수 ‘0’인 마을도 10개나 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 어촌의 90%가 초고령으로 나타났고, 고령화지수 40% 이상인 6개 마을은 한계마을 직전 수준이다. 일부 동(洞) 지역의 시내권 인구를 제외하면 어촌의 상황은 아주 심각하다. 어촌 인구의 증가와 활성화 마련으로 어촌의 소멸위기 극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어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촌 지원조직의 통합 운영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강원도는 ‘어촌특화지원센터’, ‘귀어귀촌지원센터’, ‘수산산업창업투자지원사업’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를 ‘강원도 어촌 활성화지원단(가칭)’으로 설립해 통합적·체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
또 어촌의 인구구조, 자원, 환경, 생활여건 등을 기준으로 ‘자립마을’, ‘지원마을’, ‘통합마을’ 등으로 구분해 맞춤형 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
인구 유입 촉진을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이를 위해 어업후계자 육성, 신지식인지원사업, 귀어귀촌, 어업인 일자리 매칭사업 등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 등을 아우르는 종합계획 수립이 중요하다. 아울러 어촌의 정주여건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서비스 최소기준 설정과 지원제도 도입으로 도서지역에 비해 열악한 교육, 보건, 정주기반, 문화, 복지 등의 지원 강화에 나서야 한다.
일자리와 소득 창출을 위해선 수산양식의 스마트화로 어업인 및 비어업인의 진입이 수월하도록 해야 한다. 해삼 생산의 규모화 및 수출 확대, 연어 외해가두리양식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신규 어업인 양식을 위한 양식품종 발굴 및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하다.
여성어업인 주도의 마을별 6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도 하나의 방법이다. 강원도 내수면 및 연안에서는 지역마다 여성어업인들이 협회 및 연합회를 결성해 봉사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인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을 지역의 수산물 식당 운영, 도시락 생산 가공품 생산 및 판매, 체험마을과 연계한 먹거리 생산 등 6차 산업화와 연계해야 한다.
이 밖에도 어촌체험마을을 고유한 상품으로 개발하고, 해양레저를 직접 소득 창출의 기회로 활용해 젊은 어업인이나 어업인 자녀 등이 중심이 돼 어촌공동체사업을 추진토록 해야 한다. 아울러 수산업 일자리 매칭 체계화를 통해 현장 밀착형 컨설팅 체계를 구축하고, 도시의 청장년과 어촌이 연계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경제조직화를 도모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