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어업인 양성방안
상태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어업인 양성방안
  • 탁희업
  • 승인 2018.02.28 18: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수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요즈음 4차 산업혁명이 신문방송 등 언론매체의 주제로 오르내리면서 많은 사람들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도시민의 농어촌으로의 이주가 매년 약 6% 이상 증가하고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농어촌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는 농수산업과 농어촌 지역의 삶의 질은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최근 10년 동안 국민소득은 매년 상승하고 있지만 농어업인의 소득은 전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다. 그러나 농어업은 아직도 대도시를 제외한 많은 지역에서 중심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고 청년층 등의 유입으로 혁신형 강소농어업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미래 농어촌에 희망을 주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농어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와 연계·융합해 새로운 형태의 생산과 비즈니스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농어촌의 소득과 브랜드 가치를 높여나갈 수 있다. 다시 말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농어업과 결합하면서 자동화, 첨단화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생산성은 향상되고 노동력과 생산비용은 감소해 세계적인 식량 부족 문제,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줄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면, 농업에서 스마트 농장(Smart Farm)의 경우 정보통신기술(ICT)을 농업의 생산, 유통 등에 접목해 원격시스템으로 작물의 생육 환경을 관리하고 판매 효율화를 높일 수 있다. 수산업에서도 스마트 어장(Smart Fishery)의 경우 환경공학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양식어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자동적으로 생육 환경을 관리할 수 있다. 미래의 농어업은 빅데이터, 드론, 로봇 등과 같은 첨단기술을 사용하고, 생물자원을 활용한 식품, 의약, 화학, 에너지 산업 등 4차 산업혁명의 융·복합 흐름을 필요로 한다. 더 나아가 작물 생산, 식품 제조·가공 및 유통 외에 문화, 체험, 관광 등의 서비스업과 연계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생산적 복지를 실현해 지역경제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용들이 제대로 실현되려면 기존 농어업인들의 의식 및 숙련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인력 양성 그리고 관련 제도의 변경이 필요하다. 새로운 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기존의 농어업인에 대한 재교육과 더불어 농어업에 종사하려는 신규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이 다양하게 이뤄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농수산계 고등학교나 관련 대학 등 공공교육기관에서 일방적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는 다른 산업 분야와 연계·융합하는 새로운 농어촌으로 변화하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관련 방안의 하나로 교육훈련기관, 관련 협회 및 단체, 관련 전문가 등이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인력 양성을 협의하는 일종의 협의체나 위원회를 구성해 여기에 농어업 관련 종사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농어업인 양성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용노동부의 주관하에 광역시·도별 거버넌스체제의 형태로 구축돼 있는 지역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도 지역에 따라 농어업 관련 단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지방자치단체와 다른 산업·분야의 이해관계자(관련 협회 및 단체, 교육훈련기관, 민간전문가 등)와 협력 및 네트워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협의체 및 위원회를 주관하고 있는 중앙정부 및 산하기관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컨설팅, NCS 기반 교육훈련과정, 일·학습 병행제 등 정부 재정 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농어업에 종사하려는 청년이나 도시 이주민들이 관련 교육훈련을 저렴한 비용으로 수시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g
#4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