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 산업화 추진방안
상태바
제주지역 수산업의 6차 산업화 추진방안
  • 한국수산경제신문
  • 승인 2018.01.17 22: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민석 제주연구원 책임연구원
 

제주도의 수산업은 단순한 수산물의 채취판매, 생물생산 산업 등 1차 산업에 의존해 산업을 육성시키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6차 산업의 근간이 되는 자원은 제주도의 경우 어촌마을에 있는 포구 등의 공간자원과 해녀와 어선어업으로 구성된 인적자원이며, 6차 산업화를 발전시키기에 훌륭한 자원이다.

이외에도 지역 수산물과 토속생물을 포함한 수산생물자원에 해당하는 산업경제자원, 생태환경자원, 역사문화자원, 해양 및 해변자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심 있게 추진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유사 6차 산업화의 추진사례는 경기도(1개소), 전남도(1개소), 경남도(1개소), 충남도(1개소), 전북도(1개소), 제주도(15개소) 등이다.

이 가운데 제주지역의 6차 산업화 추진 사례 총 15개소를 조사해 분석한 결과, 제주의 관광자원과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축제 형태의 산업화 추진 사례가 9개소로 많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었다.

특히 제주지역 어업인들은 6차 산업화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인들은 수산업·어촌분야에 6차 산업화의 접목가능성, 향후 6차 산업화를 추진할 의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추진 여부와 관계없이 6차 산업화가 어가 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고 의식하고 있다.

제주도의 수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키고, 어업인들의 높은 소득창출을 위해서는 관행적인 1차 산업에서 탈피해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6차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과 제도보완, 어업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제주도의 경우 수산업·어촌 6차 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해선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6차 산업 육성과 관련된 조례는 농축산식품국 6차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제정 2014-04-21, 조례 제1192호)가 제정됐지만, 생산기반이 다르기 때문에 수산업·어촌의 전 분야를 포함할 수 있는 지원 조례안을 새롭게 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가칭 수산업·어촌 6차 산업 지원센터 설립이 필요하다.

6차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근거로 수산업·어촌 6차 산업 지원센터를 설치해 기술의 홍보, 구매자 정보 제공 및 판매의 중개·알선, 사업자 간 정보공유 및 상호 협력기회 부여, 훈련·연수·세미나 등의 교육프로그램 제공, 기술·품질의 개발과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 등 6차 산업과 관련된 창업 정보제공 및 우수제품의 사후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6차 산업화의 차별화 및 제주형 모델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각 어촌마을 단위를 비롯해서 제주의 전체적인 산업화 가능 자원을 조사하고 자료를 구축해 마을 또는 지역, 법인 경영체별로 차별화된 활용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도자육성, 어업인 교육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재정적인 뒷받침이 중요하며 유통, 마케팅 등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교육 및 행정, 재정적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

6차 산업은 다각화 또는 다양화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다양한 직업군이 필요하다. 특히 제주의 경우 귀농·귀촌한 인력들의 전문성과 사업을 접목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6차 산업화를 연찬륙 시키기 위해서는 담당 공무원들의 관심과 6차 산업화를 추진하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에 대한 보완책 등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